[ 물류 용어집 ]
ASAP - As soon as possible (가능한 빨리, 가급적 빨리)
P-Unit - 수요예측 단위
|
|
|
Ch Inv-Sellable - Chnnel Inventory Sellable - 유통업체 판매가능재고 Ch Inv-Totol - 유통업체 총 제고 |
|
DIO - 재고회전일 (Days Inventory Outstanding) - 재고일수 - 생산한 후에 판매되기까지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. |
|
LTI - 장기재고 (Long Term Inventory) - 물류창고에 판매되지 못하고 장기간(기간을 회사마다 다름)보유하고 있는 재고. |
|
NPI - 신제품 기획도입(New Product Introduction, NPI) - 신제품 출시에 대한 정보관리. Plan반영 -제품도입 프로세스는 신제품에 대한 고객의 욕구(Needs)를 확인하여 마케팅부분과 연계하는 상품기획 단계에서부터 출발하여 제품연구 및 개발을 하는 개념설계, 상세설계, SP(Sample Product), MP(Mass Product)로 이관 및 출시 준비단계까지의 활동을 관장하는 프로세스이다. |
|
Shipment - 출하 . 생산된 제품이 판매등의 목적으로 사업체에서 출고되는 것으로 내수용과 수출용으로 나뉜다. - 선적 . 육/해/공 모두에서 공히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어이다. 신용장에서 선적일자와 관련되어 사용된 'shipment'라는 용어는 운송 형태에 따라 다음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. > 해상운송 : 본선적재(loading on board) > 항공운송 : 발송 (dispatch) > 항공운송 : 인수 (accepted for carriage) > 우편운송 : 우편수취일자 (date of post receipt) > 택배운송 : 수령일자 (date of pick up) > 복합운송 : 수탁 (taking in charge) --> 이와 같이 운송형태에 따라서 'shipment'의 의미가 각각 다른 용어로 사용되지만 모두다 선적을 의미한다.
|
|
Sell-in - 제조업체(또는 제조업체의 물류창고)로부터 유통업체(채널)로 판매되는 것을 말한다. - 흔히 기업의 매출을 이야기할 때는 기업이 유통업체에 판매하는 Sell-in을 뜻한다. Sell-out - 유통업체로부터 최종 소비자로 판매되는 것으로 '실판매'라고도 한다. Sell-thru - Sell-out과 동일한 개념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으나 유통거래처를 통해 판매매장으로 뿌려지거나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전 단계의 유통거래처 사이의 거래를 뜻한다. Sell-in프로모션 - 매입금액에 따라 유통업체에 지급하는 인센티브이다. - 물량규모에 따라 할인해 주는 물량할인(Volumn Discount), 실판매 수량과 상관없이 매입물량고 함께 제공하는 사은품 등이 있다. Sell-out프로모션 - 매장에서 판매되는 수량에 따라 판매 사원에게 지급하는 판매사원 인센티브. - 고객에게 직접 제공되는 사은품 및 가격할인 등이 있다. |
|
Shipment Result - 생산법인 판매(AR) 실적
Sales Result - 판매법인 판매(AR) Sell-in 실적 WH_IN Result - 판매법인 입고실적 EOH Result - 판매법인 주말 재고 실적
BOH - Begin Of History : 주초, 월초 기초 재고수량 EOH - Eod Of History : 조말, 월말 이월재고수량 |